SEO 의 힘? 구글 블로그 노출 0 샌드박스 기간 탈출 성공

갑작스러운 구글 유입 발생

최근 회사 업무와 개인적인 일이 바빠 블로그에 소홀히 하였는데 구글 서치 콘솔 을 접속해 실적 그래프를 보고 깜짝 놀라게 되었다.

이를 한 문장으로 표현 하자면 “존버는 승리한다”.

이전 포스팅들을 보면 내 블로그는 글이 200 개가 넘어감에도 구글 서치 콘솔 실적이 노출 0, 클릭 0 수준에서 증가하지 않았다.

그나마 최근에 와서 노출이 꾸준히 2로 나와 어떤 글 하나 정도는 그래도 노출 되나 보나 하고 최근 일이 바빠 방치하고 있었는데…

2024년 3월 20일 기준 갑작스레 그래프에 변동이 왔다.

정말 여러 방법을 시도해도 해결 되지 않던 것이 갑작스레 해결 되어 당황스러우면서 감격을 했다.

그래서 나와 같은 현상을 겪던 사람들을 위해 이 글을 작성하여 희망을 공유하고 싶었다.

구글 서치 콘솔 실적 증가

내 블로그 구글 실적

갑작스레 상승한 구글 서치 콘솔 실적을 보고 속으로 소리를 지르며 여자친구와 친한 친구들에게 자랑을 했다.

23년 7월 26일 첫 글 (워드프레스 블로그 시작: 내가 티스토리에서 워드프레스로 옮긴 이유) 이후 241일, 달로 따지면 약 8개월이 지나 이제야 그래프가 올라갔다.

처음 글을 작성 했을 땐, 그래도 꾸준히 유입 수가 증가 하다 갑작스레 노출, 클릭이 0 이 되기 시작하더니 어떤 글을 써도 노출 수는 증가하지 않았다.

아예 색인 자체가 되지는 않았던 것이 site:블로그 주소를 입력 했을 땐 내가 색인 생성한 글이 검색 되었다.

그렇지만 글 제목을 아예 복사해서 붙여 넣었을 땐 구글 검색 결과엔 출력 되지 않았다.

정상적인 블로그 라면 첫 페이지는 아닐 지라도 페이지를 찾다 보면 하나 정도는 발견 되어야 정상이다.

이에 조급해져 새로운 블로그를 파볼까? 내가 지금까지 작성한 글을 전부 수정해야 되나? 아니면 좀 이상해 보이는 글을 삭제해야 될까? 엄청 고민을 했다.

Search Console 고객센터 문의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심히 구글 검색도 하고 고객센터에 문의도 하였다. (7월 부터 생성한 블로그의 구글 검색이 노출이 아예 안됩니다. – Google 검색 센터 커뮤니티)

이 당시 글을 보면 Yoast SEO 플러그인과 같은 SEO 플러그인이 모두 초록 불이 들어 오게 신경 쓰며 열심히 글을 쓰니, Naver 의 노출과 클릭 수가 점점 증가 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니 이에 대한 정확한 해결 방법을 지원 받고 싶어 구글 고객센터에 글을 올리게 되었던 것이지만, 사실 상 원론적인 답변을 받게 되었다. 그래도 nofollow 와 같은 새로운 지식도 얻게 되고 제목 관련에 조언 도 얻게 되었다.

그래서 이와 관련해서 7~8월에 조치를 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구글 유입이 증가하진 않았다.

그럼에도 이 구글 고객센터에서 공유 중인 내용들은 블로거 라면 반드시 지켜야 품질 좋은 블로그를 운영할 수 있으므로 한번 읽어보는 것을 추천 한다.

왜 이런 원인이 발생 했을까?

이 문제가 해결이 안돼서 여러가지 방법을 스스로 찾아보고 조치해 가며 진짜 최선을 다해 열심히 노력해 보았다.

여러 선배 블로거 분들의 조언에 따라 이런저런 사항을 체크해 봤는데, 아직 내 블로그에 좀 더 개선 점과 나 말고도 이런 현상을 겪는 분들이 많다는 점을 발견 하였다.

많은 분들이 억울해 하며 아무런 이유도 모른 체 블로그가 계속 성장하지 않는 것이다.

그 중에는 구글 샌드박스 기간이란 용어로 이 현상을 설명하는 글도 있고, 중복 블로그를 의심하는 내용도 있었다.

구글 샌드박스 기간

모 블로거에 의하면 구글엔 샌드박스 기간 이란 것이 존재한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사실 이는 구글이 공식적으로 인정한 기간은 아니다.

샌드박스란 용어는 IT 분야 에서 안전하게 실험, 테스트 할 수 있게 격리된 공간을 이야기 한다.

그래서 처음 블로그가 생성 되면 차이 격리된 것 같이 검증 과정을 거치는 기간이 존재해 아무리 글을 작성해도 이 블로그의 노출이 미미하다는 것에서 유래 한 용어다.

많은 사람들이 수많은 블로그를 만들어 보여 운영을 해본 결과 대략 6개월 전후로 구글 노출이 아예 없는 수준, 미미한 수치를 나타낸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상황에 따라 처음부터 노출이 잘 되는 블로그가 있는 반면, 나의 경우처럼 노출이 0 수준에 머무는 블로거는 아무리 좋은 글을 써도 단 1의 노출도 올라가지 않아 “분명히 블로그 자체를 제한을 두고 있을 것” 이란 추측을 하게 된 것이다.

의외로 ChatGPT 에 물어볼 땐 이 용어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다.

결국 경험 상 분명히 존재하는 현상으로 SEO 마케터 들에겐 공유되고 있어 신뢰성을 지니게 된 용어가 되었다.

그리고 어찌 보면 내 경험이 이 샌드박스 기간의 증거로 글을 열심히 작성해도 전혀 미동도 없다가 약 8개월이 지난 시점 갑작스레 유입이 증가 하였다.

조치가 있었던 것도 아니며 글을 안 쓰고 바쁘게 일상을 보내고 있던 사이 갑작스레 구글 노출 수가 거의 300~400 대로 점프 하게 되었으니 말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해결 방법으론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내용이 대다수였다.

SEO 를 잘 지키며, 좋은 키워드의 제목을 작성하기와 같은 기초 내용 말이다.

구글 검색 노출을 위한 해결 방안

어쨌든, 위의 샌드박스 현상이든 무엇이든 결과적으로 바로 블로그 노출을 시키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도 새로 블로그를 시작해 이를 빠르게 노출 시킬 수 있는 전략적인 방법은 분명 존재한다.

나는 결국 인고의 시간을 거쳐 구글 노출이 되기 시작했는데 여기까지 도달 하기 위해 했던 내용들에 대해 정리 하자면 다음과 같다.

1. 구글 서치 콘솔 등록 및 색인 생성

구글 검색 노출을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수행 해야 하는 것은 구글 서치 콘솔에 사이트를 등록하는 것이다.

이는 구글 검색 엔진에 나의 URL 을 등록하는 과정으로 내 블로그의 구글 서치 콘솔 카테고리 에서 이에 대한 내용이 정리 되어 있다.

가이드 까지 보지 않아도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에 접속 해 시키는 대로 진행하면 아주 쉽게 진행할 수 있다.

구글 외에 네이버, 다음, Bing 또한 이와 같은 웹 마스터 도구가 존재 하므로 전부 등록해 내 블로그가 다양한 검색 엔진 등에 노출 되도록 할 수 있다.

2. SEO 에 맞는 글 작성하기

아마 구글 검색 관련 문의를 넣으면 가장 많이 듣게 되는 용어며 SEO 는 별건 아니고 검색 엔진에 유리한 글쓰기 전략을 의미하는 용어다.

이를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적절한 키워드를 지닌 제목 작성, 제목에 특수 문자 안 쓰기, 최소 몇 줄 이상 글 쓰기 등의 방법 등이 있다.

워드프레스는 내가 글을 쓸 때 마다 이 글이 적절하게 작성 되었는지 체크해 주는 여러 플러그인이 존재해 이를 활용하는 것을 추천 한다.

그 중 유명한 플러그인으론 Yoast SEO, Rank Math 등이 있고 나는 Yoast SEO 를 사용하고 있다.

3. 블로그 자체 속도 개선하기

pagespeed insights

요즘 내가 신경 썼던 것 중 하나는 블로그의 속도다. 속도엔 여러가지 요소가 있는데, 첫 진입 속도나 글에 대한 내용들이 불러와 지기까지 걸리는 로딩에 소요된 시간 등이 있다.

속도는 Chrome 브라우저 사용 시 F12 를 눌러 확인 가능 하지만 구글에서 제공하는 PageSpeed Insights 에서 쉽게 확인 가능하다.

해당 사이트로 속도 측정을 하면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그러나 내가 실제로 해본 결과 이 방법으로 조치 하는 것은 속도 개선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워드프레스 블로그 기준으로 개선을 위해선 애초부터 빠른 속도를 지닌 블로그 테마를 사용하는 것이 옳다.

이와 관련해선 워드프레스 SEO 에 유리한 테마 선택하기 (+ Pen 테마 삭제 이유) 글에 상세하게 설명 되어 있다.

시간을 투자해 해볼 수 있는 방법을 했던 것 보다 아주 가벼워 원래부터 유명했던 테마로 변경하니 속도가 바로 개선되었다.

4. 백링크 (BackLink) 활용

다른 말고 인바운드 링크(Inbound Link), 외부 링크(External Link) 등이 있다.

이는 SEO 전략 중에 하나로 이미 평판이 좋은 웹 사이트 등에서 내 블로그로 향하는 링크들이 존재 할 때, 내 블로그의 지수가 올라간다는 이야기다.

IT 분야의 블로거 라면 여러 IT 커뮤니티 에서 참고할 만한 블로그 포스팅으로 내 글이 공유되기 시작하면 아주 훌륭한 백링크 전략이 되는 것.

이를 전문적으로 작업해 주는 사이트도 있지만 나는 이를 이용한 적은 없다.

나의 경우 터치 모니터 관련 포스팅이 특정 커뮤니티에 등록되어 유입이 크게 늘어난 경험이 있다.

결국 이를 해결한 것은 인내심

이를 속 시원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는 블로그, 공식 문서는 존재하지 않았다.

결국 해결 되었단 글들은 대부분 “시간이 지나 자연스럽게 해결해 주었다.” 라는 것.

그리고 이런 블로그의 공통점은 노출이 잘 되지 않아도 포기하지 않고 SEO 를 지켜가며 품질 좋은 글을 작성했다는 것이다.

만약 이를 지키지 않으면 어렵게 블로그가 검색 엔진에 노출 되기 시작 해도 금방 다시 사라질 확률이 크다.

나와 같은 현상의 블로거 라면 새로 파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일 수 있지만, 결국 잘못된 글 쓰기 습관으로 새로 만들 때 마다 금방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그러니 일단 첫 블로그 시작을 했다면 꾸준히 1년 정도는 경험해 가며 나는 시도하지 못했지만 여러 블로그를 병행 하는 것도 좋아 보인다.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0
Would love your thoughts, please comment.x
()
x
목차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