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epSeek: 중국의 AI가 미국 주식 시장의 863조 원을 증발 시켰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으로 인해 코인, 주식 시장의 상승이 예상 되던 와중 친구로부터 DeepSeek 로 인해 이 둘 모두가 큰 하락을 겪고 있다는 소식이 들었다.

DeepSeek 의 새로운 버전의 AI 모델 발표 이후 엔비디아(NVIDIA)의 주가가 무려 17%가 하락 하여 시가 총액이 하루 만에 약 5,888억 달러 원화로 약 863조가 감소 하고(출처: 조선일보 기사) 이는 미국 주식 시상 역사상 단일 기업 최대 손실로 기록되었다 한다.

DeepSeek 가 무엇인가?

DeepSeek 로고
DeepSeek 로고

DeepSeek 는 2023년 설립된 중국의 AI 스타트업 기업과 이 기업이 만든 AI 모델을 말한다.

그 중 이번 사태의 주요 원인인 DeepSeek-R1 모델은 2025년 1월 20일에 공개 되어 Open AI 의 o1-mini 를 뛰어 넘고 o1 과 막상막하의 성능 벤치마크 결과로 인해 전세계가 난리가 났고 특히 AI에 수조 원을 투자하고 있던 미국 AI 시장은 큰 충격에 빠졌다.

DeepSeek, AI 시장의 판도를 바꾸다.

이 새로운 AI의 등장하고 시장 자체의 판도를 뒤흔들었다.

가장 큰 이유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과 매우 적은 비용으로 미국의 최신 고성능 AI 모델의 성능을 따라 잡았다는 것이다.

이는 후발주자였던 중국이 고성능 AI 개발하고 경쟁할 수 있음을 증명 했으며, 기존 기술과 사상으로는 더 이상 AI 의 선두주자가 될 수 없다는 명백한 증거가 되었다.

이로 인해 미국의 AI 와 관련된 기업들의 주식 가치가 매우 떨어지게 된 것이다.

앞으로 한 단계의 최신 모델 경쟁이 이루어지면 오히려 더 적은 비용에 효율적으로 AI 를 발전 시킬 수 있는 중국 AI 가 넘어설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ChatGPT vs DeepSeek-R1

가장 유명하고 AI 채팅 서비스의 선두주자인 Open AI 의 ChatGPT 와 DeepSeek 의 AI 모델에 대해 비교해보자.

비용

ChatGPT 는 대규모 데이터,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사용해 개발 되었다.

GPT의 서비스 들은 주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제공되며 기본 채팅 서비스외에 API 등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선 OpenAI 플랫폼으로 토큰 등을 구매해 사용하고 있다.

DeepSeek-R1 은 기존 AI 모델 대비 매우 적은 비용 (특히 V3 모델 개발 시엔 80억원의 비용만이 소요되었다고 한다. 이는 기존 수천억원의 자원을 투자해야 고성능 AI가 개발이 가능하다는 기존의 고정관념을 깨트린 사례가 되었다.)으로 개발이 되었다.

개발 비용 외에도 사용자의 API 비용도 약 27배나 저렴하다. 다음은 API 비용에 대한 비교이다.

DeepSeek-R1:

  • 입력 토큰 100만 개당 $0.55
  • 출력 토큰 100만 개당 $2.19

OpenAI의 GPT-o1:

  • 입력 토큰 100만 개당 $15.00
  • 출력 토큰 100만 개당 $60.00

성능

위에서도 가볍게 언급 했지만 DeepSeek-R1 은 OpenAI 사의 최신 모델인 GPT-o1 과 경쟁할 성능을 보인다.

이와 관련되어 성능을 수치화 하면 수학 문제 해결에선 97%의 정확도를 달성 했으며 프로그래밍 테스트 에서는 인간 참가자 중 96%를 능가했다.

대신, 한국어 등의 언어를 관련해선 아직 GPT-o1 이 성능적으로 강점이 있다는 것이 최근 여론이다.

이에 상황에 맞춰 두 가지 모델 중 취사선택을 하여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설 연휴가 시작 되고 유행하는 독감에 걸려 잠시 아픈 사이 또 한번 세상엔 변화가 찾아 왔었다. 이미 ChatGPT 도 매우 대단하고 잘 활용하고 있었는데 만족하고 있을 때가 아닌 모양이다. 새로운 DeepSeek 에 대해 더 정확히 알아보고 이에 대한 공부를 시작해야 겠다.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0
Would love your thoughts, please comment.x
()
x
목차
위로 스크롤